맨위로가기

동대문구 (197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문구 (1973년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대문구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어, 1988년 중랑구 분리와 소선거구제 실시로 인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신민당, 민주정의당, 신한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정치 - 동대문구 을
    동대문구 을은 1988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동대문구 전농1,2동, 답십리1,2동, 장안1,2동을 관할하며, 보수 및 진보 정당 후보들이 경쟁해 왔으나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정치 -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갑은 1988년 동대문구 선거구 분구로 신설되어 동대문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역대 최훈, 노승우, 김희선, 장광근, 안규백 등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종로구·중구
    종로구·중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로구와 중구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었다.
동대문구 (197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이름동대문구
의회국회
큰 지도서울특별시
연도1973
폐지1988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을
이후 선거구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을
중랑구 갑
중랑구 을
의원수2인

2. 역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동대문구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1988년 1월, 동대문구의 일부 지역이 중랑구로 분리되었다. 또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로 바뀜에 따라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을, 중랑구 갑, 중랑구 을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강상욱 후보와 신민당 송원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통일당 장준하 후보는 9.3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낙선했다.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민주공화당강상욱140,55251.89%
신민당송원영76,26728.15%
민주통일당장준하25,2709.33%
신민당유옥우23,6798.74%
무소속박기출5,0731.87%
합계270,841무효표 2,829
유권자수387,600colspan=2|


3.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1978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송원영 후보와 민주공화당 이인근 후보가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상욱 후보는 낙선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송원영신민당166,24450.91%
이인근민주공화당59,62118.25%
강상욱무소속58,23317.83%
안균섭민주통일당23,5427.20%
박훈무소속11,5783.54%
한상무무소속7,3032.23%
합계326,521
무효표3,539


3.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1981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권영우 후보와 민주한국당 심헌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당1위 의원정당2위 의원
민주정의당권영우민주한국당심헌섭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권영우민주정의당138,37738.22%
심헌섭민주한국당97,66826.97%
김병운신정당39,69710.96%
김성배한국국민당27,9467.71%
강병진민권당19,8815.49%
박기운안민당13,2103.64%
김종회원일민립당12,1293.35%
배정수통일민족당7,8602.17%
김진수민주농민당5,2361.44%
합계362,004
무효표4,771


3.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1985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민주당 송원영 후보와 민주정의당 권영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한국당 김덕규 후보는 11.6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낙선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신한민주당송원영226,67848.85%
민주정의당권영우137,97029.73%
민주한국당김덕규54,22411.68%
한국국민당김태환25,3295.45%
민권당강병진13,2422.85%
무소속고기효6,5191.40%
합계463,962
무효표6,485
유권자 수576,315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강상욱민주공화당140,55251.89%
송원영신민당76,26728.15%
장준하민주통일당25,2709.33%
유옥우신민당23,6798.74%
박기출무소속5,0731.87%
합계270,841100%
무효표2,829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송원영신민당166,24450.91%
이인근민주공화당59,62118.25%
강상욱무소속58,23317.83%
안균섭민주통일당23,5427.20%
박훈무소속11,5783.54%
한상무무소속7,3032.23%
합계326,521100%
무효표3,539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권영우민주정의당138,37738.22%
심헌섭민주한국당97,66826.97%
김병운신정당39,69710.96%
김성배한국국민당27,9467.71%
강병진민권당19,8815.49%
박기운안민당13,2103.64%
김종회원일민립당12,1293.35%
배정수통일민족당7,8602.17%
김진수민주농민당5,2361.44%
합계362,004100%
무효표4,771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송원영신한민주당226,67848.85%
권영우민주정의당137,97029.73%
김덕규민주한국당54,22411.68%
김태환한국국민당25,3295.45%
강병진민권당13,2422.85%
고기효무소속6,5191.40%
합계463,962100%
무효표6,4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